top of page
Smart View Pad for Digital Dentist - The New Way To Communicate With The Patient._edited.j

research

Dental radiologic  ai

2017년 치과 파노라마에서 질환을 자동으로 검출, 분류, 구획화 해주는 알고리즘을 뷰노와 공동으로 연구하였다. (신진연구 지원사업)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 파노라마 영상을 포함하는 여러 질병에 대한 자가진단 자동 딥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환자 데이터의 익명성 설정, 치과 질환 진단 기준, 다중 질환 진단을 위한 최적의 딥 러닝 알고리즘 등의 세부 목표로 나누어 진행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진단의 정확성과 유용성에 대해 테스트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신뢰성, 안전성, 및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한 임상 시험이 수행되었다.

챗봇, 진료예약 지식정보처리시스템 개발​

2018년 콜센터 진료예약 프로그램 기업과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한국산업단지공단 국책과제를 통해, 고려대 의료원 최초로 웹기반 진료예약챗봇 프로그램을 만들고 2019년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병원 진료예약 고객센터에서 접수된 질병/증상별 진료예약문의 다양한 검색어에 대해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챗봇 상담, 온톨로지 추론 기반의 KMS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빠르고 정확한 상담원 예약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예약 알고리즘과 스크립트를 개발하고,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진료 예약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고려대 안암병원을 통해 상용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 후, 마지막으로 지식기반 진료예약 지원 플랫폼을 개발을 진행하였다.

빅데이터 처리, 개인정보 활용 플랫폼 개발

2019년 과기부 주관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의 고려대의료원 연구책임자로 선정되어, 비씨카드-망고플레이트-고려대의료원 등 총 10여개 기관의 카드소비패턴-식사소비패턴-의료기록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한 통합연계 앱기반 서비스 플랫폼 (M-BOX)를 공동개발하였다.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한 경추 계측점 자동화 및 골성장예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

2020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한 경추 계측점 자동화 및 골성장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내특허등록, 미국/중국 특허출원을 진행하고, MICCAI 2022 에 top 13% proceeding 에 선정되었다.

Ar/vr/xr r&d

2021 치과 AI/XR 기반 디지털트윈 교육훈련플랫폼 개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총 사업비 30억원)에 총괄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VR과 햅틱 기반 치과 교육훈련플랫폼을 개발했다(고대 초지능연구소, 광주과학기술원 햅틱연구소, ㈜글림시스템즈, (재)로휴소 등 다기관 컨소시엄).

본 연구는 안전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치과의 기초 검진부터 환자의 반응, 임플란트 수술까지 의료진과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느끼고 경험할 수 있는 초현실적 치과용 AI 및 XR 교육훈련 시스템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디지털트윈, AI, XR 기술을 활용한 초현실적인 치과치료 교육훈련 시스템과 콘텐츠를 개발하고 안전성, 유효성, 사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bottom of page